본문 바로가기
경제

미국 연방준비제도 알아보기

by 더삶정 2025. 4. 1.

미국 연방준비제도 알아보기
미국 연방준비제도 알아보기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 의원들의 조직도 및 구성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이하 연준)는 미국의 중앙은행 역할을 하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eral Reserve Board, FRB)와 12개 지역 연방준비은행(Federal Reserve Banks)으로 구성된다.

 

연준의 정책 결정 기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 로, 이 위원회가 금리 정책을 결정한다.

 

1. 연준 조직도 및 구성

  1.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Board of Governors)
    •  본부: 워싱턴 D.C.
    •  구성원: 7명의 이사(Governors)
    •  대통령이 임명하고 상원의 인준을 받아 14년 임기를 갖는다.
    •  의장(Chair)과 부의장(Vice Chair)은 대통령이 지명하며 4년 임기(재임 가능).
  2.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  총 12명의 위원으로 구성
    •  FRB의 7명 이사
    •  뉴욕 연방준비은행 총재(항상 고정)
    •  나머지 11개 지역 연방은행 총재 중 4명이 1년 단위로 순환 참여(총재 5명 투표권 보유)

즉, FOMC의 투표권을 가진 위원은 12명이며, 7명은 항상 고정(이사회), 5명은 순환제(지역 연방은행 총재) 로 운영된다.

 

2.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의 의미 및 투표권

연준 위원들은 경제 정책 방향에 따라 매파(Hawk)와 비둘기파(Dove) 로 나뉜다.

 

매파(Hawk)

  •  인플레이션 억제를 중시하며 긴축적 통화정책(금리 인상, 양적 긴축)을 선호한다.
  •  경제 과열을 막고 물가 안정을 최우선으로 삼는다.
  •  대표적 매파 인사: 폴 볼커(전 연준 의장, 1980년대 초 강력한 금리 인상)

비둘기파(Dove)

  •  경제 성장과 고용 확대를 우선하며 완화적 통화정책(금리 인하, 양적 완화)을 선호한다.
  •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 인상을 신중하게 고려한다.
  •  대표적 비둘기파 인사: 제롬 파월(현 연준 의장, 팬데믹 시기 저금리 정책 유지)

투표권 관련 사항

  •  FRB 이사 7명은 항상 투표권을 가진다.
  •  뉴욕 연은 총재도 항상 투표권을 가진다.
  •  나머지 11개 지역 연방은행 총재 중 4명만 순환 투표권을 가진다.
  •  따라서, 정책 결정은 상대적으로 고정적인 인사(이사 7명, 뉴욕 연은 총재 1명)의 성향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연준이 매파 성향 위원들이 많을 경우 금리 인상 기조가 유지되며, 비둘기파가 우세하면 금리 인하 가능성이 높아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