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헷갈리는 ○○플레이션 한방 정리!

by 더삶정 2025. 3. 31.
728x90
반응형

헷갈리는 ○○플레이션 한방 정리!
헷갈리는 ○○플레이션 한방 정리!

🔹 한 줄 요약

  • 인플레이션(In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
  • 디플레이션(Deflation):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 스태그플레이션(Stagflation): 경기 침체 속에서도 물가가 오르는 현상
  • 리플레이션(Reflation): 정부가 경제를 부양하려고 의도적으로 물가를 올리는 정책
  • 슬럼프플레이션(Slumpflation): 경기 침체와 물가 상승이 동시에 발생하는 현상
  • 애그플레이션(Agflation): 농산물 가격 상승이 원인이 되어 물가가 오르는 현상
  • 크립토플레이션(Cryptoflation): 암호화폐 시장 내에서 가격이 급등하면서 나타나는 인플레이션

1. 인플레이션 (Inflation)

인플레이션은 경제에서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현상이다. 물가가 오르면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물건이 줄어들어 구매력이 감소한다. 보통 경제 성장과 함께 적정 수준의 인플레이션은 자연스럽고 바람직하지만, 너무 높아지면 생활비 부담이 커지고 경제 불안정성이 커질 수 있다. 원인은 돈이 너무 많이 풀렸거나(과도한 통화 공급), 생산 비용이 증가했거나(원자재 가격 상승), 수요가 급증했을 때 발생한다.

 

2. 디플레이션 (Deflation)

디플레이션은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이다. 물가가 떨어지면 소비자들은 물건을 더 싸게 사기 위해 구매를 미루고, 기업의 매출이 감소해 투자와 고용이 줄어든다. 결국 경제가 위축되고 불황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대표적인 예로 1990년대 일본의 "잃어버린 20년"이 있다.

 

3. 스태그플레이션 (Stagflation)

스태그플레이션은 "경기 침체(Stagnation)"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합쳐진 단어로, 경제 성장이 둔화되거나 침체되면서도 물가가 상승하는 비정상적인 경제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경기가 나빠지면 물가도 내려가는 게 보통이지만, 스태그플레이션은 오히려 반대로 움직인다. 원인은 원자재 가격 급등(예: 오일 쇼크), 공급망 문제 등이 있다.

 

4. 리플레이션 (Reflation)

리플레이션은 정부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돈을 더 풀거나 금리를 낮춰 인플레이션을 유도하는 정책이다. 경제가 불황에서 벗어나도록 도와주지만, 너무 과도하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위험이 있다. 보통 중앙은행이 금리를 낮추거나 정부가 경기 부양책을 발표할 때 나타난다.

 

5. 슬럼프플레이션 (Slumpflation)

슬럼프플레이션은 "슬럼프(Slump,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이 합쳐진 개념으로, 스태그플레이션과 비슷하지만 경기 침체가 더 심한 상태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대규모 실업 사태가 발생하면서도 물가가 오르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6. 애그플레이션 (Agflation)

애그플레이션은 "농업(Agriculture)"과 "인플레이션(Inflation)"이 합쳐진 단어로, 곡물이나 농산물 가격 상승이 전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기후 변화, 자연재해, 전쟁, 유류비 상승 등이 주요 원인이다. 예를 들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곡물 가격 급등이 애그플레이션을 유발했다.

 

7. 크립토플레이션 (Cryptoflation)

크립토플레이션은 "암호화폐(Crypto)"와 "인플레이션(Inflation)"을 합친 개념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특정 코인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나타나는 인플레이션이다. 대량 발행되는 토큰이 시장에 풀리거나, 투자자들의 투기 심리가 커지면서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암호화폐 특성상 기존 경제의 인플레이션과는 조금 다른 양상을 보인다.

728x90
728x90
반응형